-
23.05.24) 문자열 연습하기 문제썽이의 개발 일지/TIL 2023. 5. 24. 21:56
🧐문자열 연습하기
function solution(s){ var answer = true; // [실행] 버튼을 누르면 출력 값을 볼 수 있습니다. console.log('Hello Javascript') return answer; }
더보기📌 문제설명
대문자와 소문자가 섞여있는 문자열 s가 주어집니다. s에 'p'의 개수와 'y'의 개수를 비교해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return 하는 solution를 완성하세요.
'p', 'y' 모두 하나도 없는 경우는 항상 True를 리턴합니다.
단, 개수를 비교할 때 대문자와 소문자는 구별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s가 "pPoooyY"면 true를 return하고 "Pyy"라면 false를 return합니다.
📌제한사항
- 문자열 s의 길이 : 50 이하의 자연수
- 문자열 s는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입출력 예
s answer "pPoooyY" true "Pyy" false 📌해결과정
팀원분한테 배운건데 문제를 풀기전에 어떻게 풀 것 인지
미리 로직을 정리해주면 문제푸는데 도움이 된다고 하셨다.
<문제풀이 로직>
1.s를 대문자나 소문자로 통일한다.
2.통일된 s를 순회한다.
3.순회하면서 p면 p카운트변수를 +시킨다, y면 y카운트변수를 +시킨다.
4.순회가 끝나면 p카운트변수와 y카운트변수를 비교한다.
5.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리턴한다.
1. 대문자나 소문자를 통일하는 방법을 구글링 해보니 s.toUpperCase()내장함수를 사용하면 된다고 한다.
-대문자로 통일 : s.toUpperCase()
-소문자로 통일 : s.toLowerCase()
매개변수를 선언해주고 함수를 할당해준다. (자주 헷갈리는데 오른쪽 할당되는것이 변수라는 바구니에 담기는것)
var str = s.toUpperCase();
2. s가 대문자로 통일되었다면 for문을 이용해서 문자열을 순회해보자
👉for문
더보기for (초기값; 조건식; 증강식) {}ex)for (let i = 0; i < 10; i++) {console.log("for문 돌아가고 있음= >" + i);}-초기값: i라는 변수는 0부터 시작-조건식: i라는 변수가 10에 도달하기 전까지 계속-증강식: i라는 변수는 한 사이클을 돌고 나면 1을 더할거야 (사이클: {}가 의미하는 블록단위)for (var i = 0; i < s.length; i++) { }
문자열 s의 초기값을 0으로 주고 문자열 길이만큼 돌 수 있도록 for문을 먼저 적어준다.
3. pCount변수와 yCount변수를 각각 0으로 할당해주고 순회하면서 p를 만나면 p카운트변수를 1씩 +시켜주고
y를 만나면 y카운트변수를 1씩 +시켜준다. (사실 i 가 index를 뜻하는거 이번에 알았,, ok)
(나는 s문자열의 길이를 다 순회하고 그 이후에 p와y의 갯수를 찾는 방법으로 할 것이다)
var pCount = 0; var yCount = 0; for (var i = 0; i < s.length; i++) { if (str[i] === "P") { pCount = pCount + 1; } if (str[i] === "Y") { yCount = yCount + 1; } }
pCount = pCount + 1; 를 해석하자면 pCount가 0이니까 순회를 하면서 P를 만나면 +1를 시켜주면
0 = 0+1 -> pCount가 1이 되고 또 다시 s.length의 길이를 넘기 전까지 계속 순회를 하는 것이다.
yCount도 동일하다
4. 순회가 끝나면 p카운트변수와 y카운트변수를 일치 연산자를 이용해서 비교한다.
더보기일치 연산자(===) : 좌,우를 비교하고 타입까지 일치해야 true를 반환하는 연산자
5.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를 리턴하면 식을 완성할 수 있다.
function solution(s) { var str = s.toUpperCase(); var pCount = 0; var yCount = 0; for (var i = 0; i < s.length; i++) { if (str[i] === "P") { pCount = pCount + 1; } if (str[i] === "Y") { yCount = yCount + 1; } } return pCount === yCount; } var result = solution("pPoooyY"); console.log(result);
'썽이의 개발 일지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5.26)자바스크립트 문법정리2 - 메서드 익히기 (0) 2023.05.26 23.05.25) 알고리즘 문제) 배열의 평균값 구하기 (0) 2023.05.25 23.05.23 자바스크립트 일급객체 함수 연습하기 (1) 2023.05.24 23.05.22) 자바스크립트 문법 정리 (0) 2023.05.24 23.05.19) 팀프로젝트 KPT회고 (0) 2023.05.24